전체 글 206

강의요약(행복심리학) - 3장 행복의 조건 1

본 요약 handout 은 kmooc에서 청강한 서울대 최인철 교수님의 행복심리학 강의를 이수하며 직접 요약한 것이다.  K-MOOC 자료실 www.kmooc.kr  강의 명 : 행복심리학3장.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 내가 바꿀 수 없는 조건과 바꿀 수 있는 조건으로 나뉜다. 이를 음식을 먹는 것에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객관적인 삶의 질(음식의 재료와 조리된 음식의 질): 경제적인 상황, 교육수준, 안전, 생활비, 국가의미래..!타고난 성향(음식을 맛보는 자신의 혀와 자극을 받아들이는 뇌): 천성 혹은 기질, 유전. 원래부터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이 높은사람,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이 낮은 사람.환경에 대처하는 스타일(식사를 즐겁게 하기 위해 내가 조작하는 모든것. 음악틀기, 예쁜그릇, 친구초..

강의요약(행복심리학) - 2장 행복의 측정

본 요약 handout 은 kmooc에서 청강한 서울대 최인철 교수님의 행복심리학 강의를 이수하며 직접 요약한 것이다.  K-MOOC 자료실 www.kmooc.kr  강의 명 : 행복심리학2장. 행복의 측정  행복의 측정 캔트릴 척도 Cantril’s ladder: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측정도구. 0~10까지의 스케일로 자신의 삶이 몇점인지 생각해보는 것. UN 세계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9~10점은 약 6%. 대한민국 평균 6점. 좋은 심적 상태의 2가지 요소 중 전반적 삶에 대한 평가를 측정할 때 쓰인다.특징: 문화보편적이다. 객관적 삶의 조건도 함께 반영된다. 광범위한 시간 스펙트럼을 갖는다(과거 + 현재 + 미래). PANAS(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hedul..

강의요약(행복심리학) - 1장 행복의 정의

본 요약 handout 은 kmooc에서 청강한 서울대 최인철 교수님의 행복심리학 강의를 이수하며 직접 요약한 것이다.   K-MOOC 자료실 www.kmooc.kr 강의 명 : 행복심리학1장. 행복의 정의  왜 행복을 추구해야 하는가과거의 행복에 대한 정의: 심리적 고통이 없는 상태.과거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 고통의 부재는 행복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것만으로 행복을 말할 수 없다. 인간의 삶이 긍정적 정서로 인해 풍요로워 지는 것도 포함될 때 행복이라고 할 수 있다.긍정심리학: 기존의 부정적 상태를 제거하려는 연구뿐만이 아니라 관점을 전환하여 적극적으로 긍정적 상태를 추구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행복에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1) 시대정신이 변하고 있다(국가의 경제발전보다 개..

와인이야기(에레지, 프랑스)

명칭 : Gérard Bertrand Heresie Corbieres 원산지 : 프랑스, Corbieres 포도품종 : ? (찾아보니 3종 정도 혼합되어있었음. 그르나슈, 시라, 무르베드르) 브랜드 : Gérard Bertrand 등급 : Appellation d’origine protégée (AOP 3단계 중 1등급에 해당. 생산지역의 규정을 맞추어 생산해낸 와인) 빈티지(포도 수확한 해) : 2018년 구매처 : 홈플러스 "Heresie"는 프랑스어로 "이단"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향은? 라벨 디자인 때문인지 향은 큰 장미꽃을 본 느낌이다. 깊은 산속 느낌도 있지만 향이 다채롭지는 않다. 포도향보다는 나무향, 초콜릿향? 러스크향? 맛은? 단맛은 그냥 0. 신맛은 2.5정도. 알콜향 약간 미스. 나쁘..

나의 이야기 2024.01.21

연역법 논증과 귀납법 논증 구분하기

아무말이나 논증이 아니다. 전제와 결론이 존재하는 명제들의 집합을 논증이라고 한다. 이때 이 논증이 연역적인지, 귀납적인지 구분하면 그 논증의 옳고 그름을 따질때 유용하다. 연역법의 신뢰성 연역법은 유효성validity과 타당성soundness으로 평가된다. 모든 전제가 참일때 결론이 거짓이되는게 불가능할 경우 그 논증은 유효하다(valid). 다만 이때 전제가 진실인지 아닌지는 상관이 없다. "모든 사람은 당근이다. 모든 사람은 감자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당근이자 감자이다." 이 말도안되는 논증이라도 유효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하지만 타당성soundness을 평가하면서 우리는 그 전제가 참인지 아닌지도 고려한다. 유효한 논증일지라도 전제가 거짓이라면 타당하지 않은 논증이다. 귀납법의 신뢰성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