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6

영단어 모음 (tri~u)

※ 단어의 bold 는 강세를 의미한다. 유의어와 뜻은 다음과 네이버 어학사전을 참고하였다 영단어 유의어 뜻 trill warble, sing, chirp, chirrup, tweet, twitter 트릴로 연주하다, 떨리다, 떨리는 울음소리, 빙빙 돌다, 회전하다, 활보하다. triumvirate - 삼두 정치 truncheon club, baton, cudgel, bludgeon 곤봉, 경찰봉. 나뭇가지, 곤봉으로 때리다. trundle - (천천히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굴러가다, 터덜터덜[느릿느릿] 걷다 tryst - 만날[밀회할] 약속, 밀회. 만날 약속을 하다, 만남[밀회]의 장소. tumbrel cucking stool 사형수 호송차, 화물차, 징벌구 tumid swollen, distend..

인문학/언어 2022.12.05

조선시대의 뱅크시, 김삿갓

서당내조지(書堂乃早知) 방중개존물(房中皆尊物) 학생제미십(學生諸未十) 선생내불알(先生來不謁) - 김병연- 조선의 뱅크시 영국의 무명화가 뱅크시는 신비로운 이미지를 품고 통렬한 사회비판적 작품들을 예상치 못한 세계 곳곳에 남기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도 이렇게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세상에 일침을 가했던 문장가가 있다면 믿겠는가? 이름은 있는 조선의 시인, 김삿갓 김병연이 그 주인공이다. ※김병연 설화는 실제 역사기록보다는 소설과 시집에 남아있다. 장원급제한 촉망받는 청년 1800년대 초, 어머니와 4형제가 살던 강원도 영월 산골에 경사가 났다. 차남 김병연이 과거에 급제한 것이다. 영월에서 열린 백일장에서 홍경래의 난에 항복한 선천 부사 '김익순'의 역적행위를 비판..

인문학/역사 2022.12.04

영단어 모음 (ten~tre)

※ 단어의 bold 는 강세를 의미한다. 유의어와 뜻은 다음과 네이버 어학사전을 참고하였다 영단어 유의어 뜻 tenable viable, defensible, justifiable, defendable 지지[변호]할 수 있는, 지속[유지, 보유]할 수 있는, 공격에 견디는 tenacious firm, tight, fast, persevering, persistent 집요한, 완강한, 오래 계속되는 tenet principle, theory, doctrine, dogma 견해, 주의, 신조, 교리 tentative unconfirmed, provisional, hesitant, uncertain, cautious 잠정적인, 머뭇거리는, 자신 없는 tenuous fragile, feeble, frail, f..

인문학/언어 2022.12.04

영단어 모음 (super~temp)

※ 단어의 bold 는 강세를 의미한다. 유의어와 뜻은 다음과 네이버 어학사전을 참고하였다 영단어 유의어 뜻 supercilious arrogant, haughty, conceited, disdainful 거만한, 건방진 superficial shallow, frivolous, hasty, surface, exterior 깊이 없는, 얄팍한, 피상[표면]적인, 가벼운, 표면의 superfluous waste, surplus, excessive, unnecessary, spare 여분의, 과잉의, 쓸데없는; 부적절한 supernumerary surplus, redundant, superfluous 필요 이상의, 여분의 supersede replace, substitute, displace, surrogat..

인문학/언어 2022.12.03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창세기 1장]

기독교에서 말하는 세상의 창조 내가 기독교 인이 아니어서 그런지 실제로 기독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또 설명하고 있는 우주의 창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다만 기독교에서는 성경의 내용이야말로 교리의 근본이자 생각과 행동의 지침으로 받들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다. 성경의 내용은 현대 과학이 이제까지 밝혀낸 우주의 섭리, 법칙과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으며, 심지어 성경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 안에서 모순되고 충돌하는 내용도 존재하는데 신학에서는 이를 어떻게 풀지도 궁금하고 현대에 성경과 종교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보고 싶어졌다. 기독교인과 비 기독교인이 대부분 공감할 수 있는 "성경은 불완전한 인간이 적었다." 라는 사실을 기초로하여 나름대로의 해석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창세기 1장의 내용을 탐..

인문학/종교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