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6

자기력, 보이지 않는 힘

매그니토 : 자네 피속에 철이 너무 많군...(미스틱이 간부의 몸에 주입한 철을 조종해 감옥에서 탈출하는 매그니토) - 영화 중에서 - 자기력이 정확히 뭘까? 어렴풋하게 알고 있던 자기력은 단순히 자석이 서로 붙는 힘 정도로 알고 있었다. 위키백과에 쓰인 첫 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자기(Magnetism)는 자석이 주위 물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 위키백과 - 나침반의 바늘을 움직이는 힘도 그것과 같다고 알고 있다. 작은 자석인 나침반 바늘의 북극을 가리키는 부분을 North의 의미로 N을 표시하게 되고 반대방향은 South의 S를 표시하게 되는데 다른 천연자석을 가져다 대어도 나침반의 바늘의 방향이 달라진다. 바늘의 N이 붙는 쪽이 자석의 S극이고 반대쪽이 N극이기 때문에 지구는 ..

만(滿) 나이

미국친구 : 그래서 몇 살인건데?? 한국나이는 세는 방식이 세 가지이다. 태어난 년도에 1살로 시작해서 양력 1월1일마다 한 살씩 먹는 계산, 현재년도에서 출생년도를 뺀 계산, 그리고 탄생일을 0세로하여 생일마다 1살씩 먹는 계산이 있다. 미국친구한테 나이를 이야기 해주면 이중 최소 두가지는 말해주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그냥 깔끔하게 나이로 말 하지 않고 태어난년도만 얘기하는 경우도 있다. 만(滿)은 '찰 만'자 만 나이의 만은 '찰 만'자이다. '차다, 채우다, 충분하다'는 뜻으로 태어나서 365(366)일 지날때마다 1살 먹는 걸로 본다는 의미다. 보통 몇 년을 살았는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므로 계산이 필요한데 현재년도에서 출생년도를 뺀 값이 본인나이라고 생각하되 생일이 안지났으면 한 살 어려진다..

사회과학 2023.01.04

The Laughing Cavalier

The Laughing Cavalier Frans Hals, 1624, oil on canvas 무감흥 멋지긴 하지만... 가끔보면 이런 초상화들은 봐도 딱히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갤러리에서 초상화만 잔뜩 걸려있는 방에 들어가면 앞에서 본 작품들 뒤에서볼 작품들 너무많은 공간속에서 사진같은 멋진초상화들을 보고 드는 생각은 '음 잘그렸네' 가 끝일때가 있다. 아무래도 유화 초상화를 직접 그려본적이 없는 나같은 사람들은 초상화를 그린다는게 어떤 느낌인지 이해하지도 궁금하지도 않기 때문일 것이다. 심지어 다른 그림에 비해 옛날 상류층의 초상화는 작가의 예술적의도를 반영하기에는 제한적인 주문제작의 성격을 띠고 있다. 세세하게 묘사를 해낸 붓질을 보고 감탄해야 하는것인지, 초상화의 대상이 누구인지를 이..

인문학/예술 2023.01.01

전기의 본질

지우 : 피카츄, 100만볼트! 피카츄 : 삐까~~ 츄~~~~~!! - 애니 중에서 - 전기가 정확히 뭐지? 초중등교육 과정에서 정말 많이 배우지만 조금만 들어가면 용어도, 의미도 헷갈려서 무작정 공식과 값만 외우고 시험치고 끝냈던 전자기학. 기계를 사용할 줄 만 알면 몰라도 되는 내용이라 용어들의 정의도 잊어버린지 오래였다. 우리의 일상에서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전기에 대해 이번에 알아보았다. 전기(電氣)의 정의 전기(電氣, 영어: electricity)란 전하의 존재 및 흐름과 관련된 물리현상들의 총체이다. 전기는 번개, 정전기, 전자기 유도, 전류 등 일상적인 효과들의 원인이다. 또한 전기는 전파 따위의 전자기 복사를 발산하고 또한 수집할 수 있다. - 위키백과 - 물질 내 전자의 이동..

비내리는 호남선~ 호남은 어디?

비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어렸을 때부터 들어서 귀에 익은 노래가사이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그저 신나게 따라부르곤 했던 기억이 난다. 호남선의 호남지방이라고 하면 지금은 전라도 지역이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고 있는데 '호남' 지방이라는 말은 어떤 의미인지 이번에 알아보고자 했다. '호남' 지명의 유래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를 일컫는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웹사이트에 따르면, 고려 초기에 전라북도 신무산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흘러가는 금강(錦江)기준 이남의 땅을 강남도라고 부른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금강 상류의 호강 남쪽지방이라서 호남이라는 의견도 있고 전북 김제시 부량면에 있는 저수지 벽골제(碧骨堤)의 남쪽이라서 호남이라는 의견도 있다고 한다. 영남과 호남의 어원에 대해 탐구한 논문도 ..

인문학/역사 202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