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논리학

사람이면 문제이다? 문제이면 사람이다? 사람이 아니면 문제가 아니다? 문제가 아니면 사람이 아니다? (역 이 대우, 논리학)

Retyper 2022. 8. 1. 22:43

사진1. 뭔말이야?

 

첫 단원만 몇 번째야

고등학교 1학년 수학 첫단원 집합과 명제는 고등학교 졸업자라면 반드시 1번 이상은 봤을 법 한 부분이다. 나는 여기만 너무봐서 문제였지만... 아마 수학을 암기과목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p이면 q이다' 라는 명제에 대한 내용 바로 다음부터 외우기를 시작했을 것이다. 그 부분이 바로 여기, 논리학의 기본으로 다뤄지는 가정과 결론의 관계에 있다.

 

p이면 q이다

우선 명제의 정의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명제(命題)는 논리학적으로 뜻이 분명한 문장을 말한다. 즉, '참' 혹은 '거짓'임을 검증할 수 있는 '객관적 사태'가 포함된 문장을 말한다. - 위키백과 -

 

'모든 사람은 죽는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우영우는 거꾸로 해도 우영우다' 등등 참과 거짓을 분명히 판별할 수 있어야 명제이다. 명제는 그 요소로서 반드시 가정과 결론을(가정과 결론 모두 '조건' 에 해당한다. 즉, 두 가지 조건의 관계가 필요)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명제Proposition 의 p와 다음 알파벳인 q를 따서 'p이면 q이다(p->q)'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하나의 명제를 단순명제라고 하며 이 단순명제들을 연결사로 이어 만든 명제를 합성명제라고 한다.

일상 문장의 모든 것이 명제를 만족하지는 않는다. 명제가 아닌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소크라테스는 누구인가?” “저곳으로 가라.” “재즈 음악은 아름답다.” “x + 3 = 7이다.”
첫 두 개의 문장은 참·거짓이 없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세 번째 문장은 사람에 따라 참인가 거짓인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명제가 아니다. 네 번째 문장은 x의 값에 따라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 위키백과 -

 

역 converse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넷플릭스

천재적인 두뇌의 소유자 우영우. 대형 로펌의 신입 변호사이자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여성으로서 법정 안팎에서 다양한 난관을 헤쳐간다.

www.netflix.com

 

명제(命題) ‘p이면 q이다’에 대하여 ‘q이면 p이다’를 처음 명제의 역이라고 한다. 이를테면, ‘어떤 수가 6의 배수이면, 그 수는 짝수이다’의 역은 ‘어떤 수가 짝수이면, 그 수는 6의 배수이다’가 된다. - 네이버 지식백과 -

 

'우영우는 거꾸로 해도 우영우다'  라는 명제의 '역'은 무엇일까? 한국인은 이 문장을 이해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지만 논리적으로 따지기에는 명제에 숨은 말들을 잘 풀어야한다. 여기서 가정은 '어떤 단어는 우영우이다.' 이고 결론은 '그것은 음절의 순서를 뒤집어도 원래 단어가 된다.' 이다. 즉, '우영우는 거꾸로 해도 우영우다'  라는 명제는 '어떤 단어가 우영우라면, 그 단어는 음절의 순서를 뒤집어도 원래 단어가 된다.' 라고 풀어볼 수 있다. '역'이란 가정과 결론의 조건을 뒤바꿔 얻은 명제이기에 이 명제의 역은 '어떤 단어가 음절의 순서를 뒤집어도 원래 단어가 된다면, 그 단어는 우영우다.' 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조금이상하지 않은가?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도 음절의 순서를 뒤집어도 원래단어가 되는 단어들인데 이 단어들이 모두 우영우는 아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 -> q : x = '우영우' -> x = '음.순.뒤.원'
q -> p : x = '음.순.뒤.원' -> x = '우영우'

 

여기서 주의할점은 원래 명제가 참이거나 거짓이더라도 그 역이 반드시 반대인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음 예시를 풀이했던 명제에 대입하면 두 명제 모두 참이라는것을 알 수 있다.

 

p -> q : x = '삼각형' -> x = '변이 3개인 2차원 도형'
q -> p : x = '변이 3개인 2차원 도형' -> x = '삼각형'

 

이 inverse

사진2.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것은 지구만이 아닌데 그림이 이상한데??

 

논리학에서, 어떤 조건 명제의 이(裏, 영어: inverse)는 그 조건 명제의 가정과 결론에 각각 부정을 취하여 얻는 명제이다. 예를 들어, 'p이면 q이다'라는 명제의 이는 'p가 아니면 q가 아니다'이다. 명제의 이는 그 명제의 역과 동치이다. - 위키백과 -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의 '이' 는 무엇일까?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정과 조건을 논리적으로 좀 더 풀이해 보자면 '어떤 행성이 지구라면, 그 행성은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이다.' 이다. '이' 의 정의에 따라 이 명제의 '이'는 '어떤 행성이 지구가 아니라면, 그 행성은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이 아니다.' 이다. 이 명제는 거짓이라는 것을 우리는 금방 판별할 수 있다. 화성도, 목성도 지구가 아니지만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이다.

 

p -> q : x = '지구' -> x = '태.주.도.행'
~p -> ~q : x ≠ '지구' -> x ≠ '태.주.도.행'
~p의 '~'는 부정을 뜻하는 연결사로 'p가 아니다' 를 의미한다.

 

여기서도 주의할 점은 어떤 명제가 참이건 거짓이건 '이'가 반드시 그에 따라 참 거짓이 결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역에서 썼던 예를 똑같이 쓸 수 있다.

 

p -> q : x = '삼각형' -> x = '변이 3개인 2차원 도형'
~p -> ~q : x ≠ '삼각형' -> x ≠ '변이 3개인 2차원 도형'

 

대우 contrapositive

사진3. 모든 사람은 죽는다고 알고 있다. 아직까지는 말이다.

 

논리학에서, 어떤 조건 명제의 대우(對偶, 영어: contrapositive)는 그 조건 명제의 가정과 결론을 뒤바꾼 뒤 각각 부정을 취하여 얻는 명제이다. 다시 말해, 명제의 대우는 그 명제의 역의 이 또는 이의 역과 같다. 예를 들어, 'p이면 q이다'라는 명제의 대우는 'q가 아니면 p가 아니다'이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의 '대우'는 무엇일까? 사실 이 명제는 지칭하는 대상이 조금 모호해서 좀 더 한정 할 필요가 있다. 내가 해석한대로 수식을 바로 쓰면 다음과 같다.

 

p -> q : x = '살아있는 생물학적 사람' -> x = '언젠가는 죽을 사람'
~q -> ~p : x ≠ '언젠가는 죽을 사람' -> x ≠ '살아있는 모든 사람'

 

'어떤 사람이 언젠가는 죽을 사람이 아니라면, 살아있는 생물학적인 사람이 아니다.' 어떤가? 우리가 지금껏 본적은 없지만 절대 죽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생물학적으로 어머니의 뱃속에서 우리처럼 태어난 사람이 아닐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심지어 예수님도 한 번은 돌아가셨다) 왜 이렇게까지해서 말을 괜히 어렵게 만드는 건지 모르겠다 싶은데, 이게 중요한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원래 명제가 참이라면 그 명제의 '대우' 는 반드시 참이기 때문이다. 논리학에서 이것을 대우법칙이라고 한다.

 

고전 논리에서 한 쌍의 명제가 서로 대우라면, 이 둘은 항상 논리적 동치이다. 즉, 서로 대우인 명제는 둘 다 참이거나 둘 다 거짓이다. - 위키백과 -

 

P.S. 명제를 연결하는 연결사와 '어떤' '모든' 과 같은 한정기호에 대한 설명은 나중으로 미루도록 한다.

반응형

'자연과학 > 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역법 논증과 귀납법 논증 구분하기  (0) 2024.01.05
Fallacy 오류  (4) 2023.12.05
논리적 법칙과 유효한 패턴들  (2) 2023.12.05
Formal analysis 정형분석 관련 용어정리  (7) 2023.11.25
귀납법과 연역법  (0)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