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정리는 이투스에서 제공하는 최태성 선생님의 무료강의를 수료하며 독학과정에서 정리한 것이다.
약 70만년전 출현한 호모 사피엔스...
전근대 | 근대 | 근현대 | |
시기 | 선사, 철기 ~ 예수탄생 ~ 고대 1000년 고려 500년 조선 500년 ~ | 1876년 강화도조약(개항기) ~ 1910년 경술국치(일제강점기) ~ | 1945 광복~ |
주안점 | PESC모델중심 접근(나는 PEC) | 인과관계에 집중 | 인과관계에 집중 |
전근대에서 주안점인 PESC 모델은 각각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의미한다. 사회와 문화의 경계가 모호해서 나는 정치, 경제, 문화로 분류하였다.
24강. 조선 후기 (경제)
조선전기 세금제도
조세 : 과전법(1결당 최대30두) -> 공법(전분6등법 연분9등법 1결당 4두~20두. 세종때)
공납 : 특산물 -> 방납폐단
역 : 군역의 요역화 현상(200년간 평화롭다보니). 대립(대신 군대보내기), 방군수포(1년에 2필. 비리도 많았음)
조선전기 농업
밭 : 2년3작
논 : 직파법 + 이앙법(남부 일부에서만)
지대(농민이 지주에게 내는 세금) : 타조법(1/2이나 떼어갔음. 농사 맨마지막 타작할때 나눔)
농서 : <농사직설>(세종때), <금양잡록>(성종때)
조선전기 상업(중농억상. 성리학!)
관허상인(관가의 허가를 받은 상인) : 시전상인[육의전(여섯가지 어용상점), 종로에서. 허락받아야 팔수있음] 보부상[지방장시. 이것도 허락 받아야함. 나중에 근대 때 혜상공국, 황국협회 조직 만듦]
사상(자영업자) : 없었음
화폐 : 저화(지폐)있었지만 안쓰임.
수공업, 광업(부역제 해이현상. 노동력 대신 포내서 떼움)
수공업 : 관영 수공업(국가가 필요한 물건을 만들어줌). 공장안(노동자 리스트)에 있는 사람들은 세금대신 노동력지급.
광업 : 관영광업
조선시대 세 개혁가. 조광조, 흥선대원군, 그리고 김육
조선후기(임진왜란 정묘호란이후) | |
정치 | 세금제도 조세 : 영정법(인조때. 1결당 4~6두) 공납 : 대동법[광해군때. 이원익이 제안함. 김육(경기지역에서 전국으로 넓히는데 평생을 씀. 100년걸렸다...). 1결당 12두 또는 동전이나 포를 선혜청에 제출. 공인이 시장에서 특산물들을 사온다 -> 상품화폐경제]. 토지당 내는 세금이기에 토지가 적을수록 적게내고 많을수록 많이냄. 역 : 균역법[영조때. 1년에 1필로 반타작! 메꾸기 위한 다른제도.. 어전세, 염세, 선박세추가(왕족들이가진 특권들). 선무군관포(돈많은 농민에게 주는 명예직. 포를 좀더 내). 결작(토지에 또매김. 1결당 2두)] 전체적인 공통점. 세금이 토지에 집중되고있다. -> 전세화, 금납화(쌀이 곧 돈이므로) |
경제 | 농업 밭 : 상품작물을 생산(담배, 인삼, 면화) 논 : 이앙법이 일반화[이모작 가능해짐, 넓은땅을 소수가 광작 할 수 있음(1/5로!). 생산력 비약적 증가. (필요한)노동력 감소. 열을 맞춰 심기 때문에 라인에 벗어나는건 모두 잡초! 특히 뽑아내야하는 벼와 똑같이 생긴 '피'] 지대 : 도조법(타작하기 전에 농민이 지주에게 딜을 하는 것! 타조법일땐 생산량이 많을수록 지주에게 이득. 하지만 도조법에선 계약. 약속한만큼만 주면 되기 때문에 강제로 야근?시킬 필요가 없다. 신분에 엮였던 조선이 서서히 해체되어감) 농서 농서 : <농가집성>(효종때), <색경>(색다른 작물들) 상업 관허상인 : 공인[대동법. 독점적 도매상인(도고)]. 시전상인[독점적 도매상인(도고)]들의 금난전권(세금 안 내는 포장마차 때려잡을 권리)이 정조때 폐지됨(신해통공). 보부상들이 전국적 유통망 형성 사상 : 거상[송상. 독점적 도매상인임(도고). 전국에 지점도 만듦(송방). 허생전에서도 나오는 도고의 모습], 객주(중계무역), 여각(숙박업), 난전(영세상인) 개시무역(국가대 국가) : 경원과 회령(지도상 호랑이 앞발바닥, 4군6진부분), 중강(호랑이 왼쪽팔꿈치), 동래(호랑이 ㄸㄲ) 후시무역(민간끼리) : 책문(호랑이 왼쪽 팔꿈치 앞쪽땅), 동래(호랑이 ㄸㄲ), 의주만상(호랑이 왼쪽팔꿈치), 개성송상[의주만상(중국교역)과 동래내상(일본교역)의 중개무역. 인삼 많이 팔았다], 경강상인(선상. 경기 바다쪽) 장시 : 송파장, 원산장, 강경장(보부상 이동지역) 화폐 : 활발한 상업. 상평통보(숙종) 한국 역사상 최조로 교환이 이뤄졌던 화폐. 전황(풀린 현금이 없다보니 물건을 싸게팔아 물가가 낮아지며 화폐가치 증가하는 디플레이션)도 발생 수공업, 광업 수공업 : 민영수공업자 등장(상업이 활발하니 물건을 직접 팔기위해). 선대제(선불 후 수령). 독립수공업(공장!) 광업 : 민영광산(은광개발). 설점수세(광산 설치하고 세금내는거) 했는데 금지시킴. 하지만 막을수 없지, 잠채(몰래 채굴). 덕대(전문경영인 CEO. 거상들에게 자본투자받음. 광산노동자고용(광작으로 논밭을 떠난 사람들). |
문화 | ? |
대동법과 도조법, 선대제, 덕대, 도고, 광작 등을 보면 식민지 근대화론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미 자본주의와 근대화로 갈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었음.
'인문학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심화 정리 - 18 (0) | 2022.08.28 |
---|---|
한국사 심화 정리 - 17 (0) | 2022.08.25 |
한국사 심화 정리 - 15 (0) | 2022.08.23 |
한국사 심화 정리 - 14 (0) | 2022.08.22 |
한국사 심화 정리 - 13 (0) | 2022.08.21 |